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업적

효율적인 행정 지도

새마을사업 초기(初期)에 마을당 일정량(一定量)의 시멘트와 철근을 33,267개(個)전마을에 공급(供給)함으로써 나라 전체가 새마을의 열기(熱氣)로 불타 오르게 하였으며 스레트를 지원하여 지붕개량(改良)을 서둘게 함으로써 초가(草家)에 짓눌렸던 것이다. 또한 전체(全體)마을을 그 발전수준(發展水準)에 따라 기초(基礎), 자조(自助), 자립(自立)의 3단계(段階)로 구분하여 지도(指導)함으로써 자조(自助) 자립의욕(自立意慾)을 강렬하게 자극하였다.

특히 우수(優秀)마을 우선지원(優先支援) 원칙(原則)을 고수하여 깊은 잠속에 빠져있던 주민(住民)이나 지역사회(地域社會) 그리고 직능단체(職能團體)로 하여금 분발할 수 있는 계기(契機)를 만들어 주었을 뿐 아니라 스스로 발전(發展)을 촉구(促求)해 갈 수 있는 자각(自覺)을 불러 일으켰던 것이다.


지원(支援)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미흡(未洽)하거나 부족(不足)한 대상에게 베풀어지는 것으로 이해(理解)되어 왔으나 새마을운동에 있어서 만은 정반대(正反對)의 개념으로 운용되었던 것이 그 특징(特徵)중의 하나이다.

79년도에는 새마을 운동(運動)의 활력화(活力化)를 통하여 경제적(經濟的) 성장(成長)과 정신적(精神的) 성숙(成熟)을 이룩하고 이러한 바탕위에서

  1. 01 복지농촌(福祉農村)과 건전도시(健全都市)를 건설하고
  2. 02 발전(發展)에 적응(適應)하는 정신질서(精神秩序)를 정립하며
  3. 03 자주(自主)ㆍ자립(自立)ㆍ자위역량(自衛力量)을 함양함으로써
  4. 04 「인정(人情)과 의리(義理)가 넘치는 풍요로운 사회(社會)」를 건설하는데 그 기본방향(基本方向)을 두었다.

이러한 방향(方向)에 따라

  1. 01 사회지도층(社會指導層)과 공직자(公職者)의 솔선참여를 적극 계도하여 이들의 수범을 통 한 국민적(國民的) 참여기풍(參與氣風)을 제고해 나가면서
  2. 02 새마을 금고(金庫)와 같은 경제적(經濟的) 구심체(求心體)의 거점적(據點的) 기능(機能)을 육성해 나가는 한편
  3. 03 농촌(農村)과 도시(都市)의 새마을사업(事業)을 차분하고 알차게 확대하여 국민의 분발(奮 發)을 촉구하는데 그 역점(力點)을 두었다.

새마을운동(運動)은 이러한 방향(方向)과 방침(方針)에 따라

  1. 01 새마을 복지기반(福祉基盤)의 확충(擴充)
  2. 02 새마을 소득증대(所得增大)의 촉진(促進)
  3. 03 도시(都市) 새마을운동(運動)의 심화(深化)
  4. 04 공장(工場) 새마을운동(運動)의 확산(擴散)
  5. 05 새마을 국민교육(國民敎育)의 강화(强化)등

5대 역점시책(力點施策)에 중점(重點)을 두어 추진하였다.

이러한 기본적(基本的)인 추진계획(推進計劃)에 힘입어 79년의 새마을운동은 그 어느 해보다도 알차고 체계있는 성과(成果)를 거양한 진보(進步)와 성숙(成熟)의 한 해였다.

단위사업 실적(71~79년간)

단위사업 실적(71~79년간)을 사업명(事業名)과 누계실적(累計實績)로 나타낸 표 입니다
번호 사업명(事業名) 누계실적(累計實績) 번호 사업명(事業名) 누계실적(累計實績)
1 마을안길 확장(擴張) 포장(鋪裝) 43,313(1,654) 2 농로개설(農路開設) 포장(鋪裝) 43,979(161)
3 교량가설(橋梁架設) 73,119 4 소유지보수(小溜地補修) 10,742
5 선착장(船着場) 2,280 6 세천정비(細川整備) 9,180
7 간이급수시설(簡易給水施設) 18,363 8 마을 회관(會館) 35,950
9 마을 창고(倉庫) 18,656 10 공동작업장(共同作業場) 4,671
11 공동퇴비사(共同堆肥舍) 70,055 12 공동(共同)빨래터 66,445
13 공동(共同)우물 120,361 14 하수구시설(下水溝施設) 14,479
15 하수구복개(下水溝覆蓋) 1,355 16 공동축사(共同畜舍) 4,018
17 공동목욕탕(共同沐浴湯) 7,017 18 매탄까스 시설(施設) 3,877
페이지 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