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 문화 및 정책
우리나라 장사(葬事)문화 유래
- 전통적으로 매장 및 화장이 모두 성행
- 고려 말 유교(성리학)의 도입 - 조선 시대 화장 억제 - 근대 장사문화로 매장 관습 정착된 계기
장사(葬事)문화의 변화
- 도시화, 산업화, 핵가족화 ⇒ 전통적 가족제도 해체
- 장사(葬事)문화개선 홍보 ⇒ 국민의식 변화
- 매장부지 확보의 어려움 및 장례비용의 부담 상승 ☞ 화장, 봉안, 자연장으로 장사문화의 변화
장사(葬事)정책 기본방향
자연 친화적이고 지속할 수 있는 장사문화 정착
- 매장 위주의 장사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 ⇒ 화장문화로 전환 도모
- 국민의 보건위생상 위해방지 및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공공복리 증진
기본방향
- 국민의 인식개선을 통한 장사문화의 개선 - 자치단체 순회교육, 인터넷 홍보 및 단체 보조금 지원 등
- 화장, 봉안, 자연장의 장려를 위한 시설 확충 및 서비스 개선 - 화장시설 및 봉안시설 설치 및 장사 종합정보 제공(e하늘)
- 장사제도의 개선을 통한 장사행정 역량 강화 - 비합리적 규제 제도 개선 및 법적 효율성 제고
- 페이지 담당
-
- 어르신복지과 054-480-5163
- 최종 수정일 :
- 2023-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