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국가산업단지 소개
사업개요
- 조성목적 및 특징 : 전자산업 중점 육성을 위한 입지제공, 전자·반도체 섬유업종 중심산업단지 1단지와 2~4단지 총 2개의 국가산업단지로 이루어져 있음 (4단지 내 외국인 투자지역 포함)
- 사업시행자/관리기관 : 경상북도(1단지), 한국수자원공사(2~4단지) / 한국산업단지공단
- 위치 : 대구 북쪽 33㎞ 지점의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시미동·산동읍, 칠곡군 일원
- 지형 및 지반 : 구릉지, 야산, 전답, 공유수면, 잡종지로 구성된 북고남저형의 비교적 평탄지
- 기후(연평균) : 온도:13.4℃, 강수량:895.2㎜, 강수일수:86일, 습도:59%, 최다 풍향:서북풍
추진 경위
- 1973.08.25 - 지방공업개발장려지구 지정(건설부 고시 제85호)
- 1977.04.22 - 산업기지개발구역 지정(건설부 고시 제72호)
- 1998.03.13 - 제4 단지실시계획 승인(부산지방국토관리청 고시 제1998-49호)
- 2008.12.03 - 구미국가산업단지 확장단지 개발계획 고시(국토부 고시 제2008-691호)
- 2009.09.30 - 구미 하이테크밸리 산업단지계획 고시(국토부 고시 제2009-955호)
- 2010.11.04 - 산업단지구조고도화계획 승인(지경부 고시 제2010-204호)
조성기간
- 1998.03 ~ 2017.12 - 준공예정(4단지, 확장단지)
- 2009.09 ~ 2018.12 - 준공예정(5단지)
관리면적
총면적 | 산업시설구역 | 지원시설구역 | 공공시설구역 | 녹지구역 |
---|---|---|---|---|
22,628천㎡ | 16,520천㎡ | 1,163천㎡ | 3,684천㎡ | 1,261천㎡ |
평균 분양가/납부방법 : 분양공고에 의함
입주업체현황[2023.12월 기준]
입주업체수 | 가동업체수 | 고용인원 | 생산액(2023년 누계) | 수출액(2023년 누계) |
---|---|---|---|---|
2,474개사 | 2,151개사 | 80,968명 | 46조1,778억원 | 249.6억달러 |
업종별 현황[2023.12월 기준]
(단위 : 개사/명)
표를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분 | 계 | 음식료 | 섬유 의복 | 목재 종이 | 석유 화학 | 비금속 | 철강 | 기계 | 전기 전자 | 운송 장비 | 기타 |
---|---|---|---|---|---|---|---|---|---|---|---|
입주업체 | 2,474 | 18 | 132 | 50 | 268 | 48 | 41 | 1,048 | 807 | 49 | 13 |
근로자 수 | 80,968 | 720 | 2,688 | 618 | 6,872 | 4,853 | 637 | 21,536 | 41,619 | 1,289 | 136 |
입지여건 : 2023. 12월말 기준
- 도로
- 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 남구미 IC(1㎞) 이용(서울 257㎞, 부산 180㎞, 대구 33㎞)
- 국 도:5번(마산↔구미↔중강진), 25번(진해↔구미↔청주),33번(고성↔구미), 67번(칠곡↔구미)
- 지 방 도:33번(구미↔평창), 68번(서천↔구미↔경주)
- 철도
- 경부선 구미역(3.5㎞), KTX 김천 구미역(18km, 동대구·대전 환승) 이용
- 서울 227㎞(3시간 10분), 부산 167㎞(2시간), 대구 46.4㎞(30분)
- 공항
- 대구공항(40㎞) 이용(인천 14회/주, 제주 95회/주, 국제선-중국, 일본, 동남아 정기운행)
- 항만
- 부산항(150㎞) : 접안능력 201척, 화물하역능력 9,100만톤/년
- 포항구항/신항(130㎞) : 접안능력 46척, 화물하역능력 5,341만톤/년
작성 기준일 : 2017. 12월말
- 페이지 담당
-
- 투자유치과 054-480-6148
- 최종 수정일 :
-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