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정보(소식)
11월 식중독 주의 정보 ![]() |
2023-11-20 |
안전한 김밥 조리요령 및 달걀 취급 시 주의요령 ![]() |
2023-10-16 |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 ![]() |
2023-10-16 |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 | |||
---|---|---|---|
등록일 | 2023-10-16 07:08:52 | ||
◆ 노로바이러스란?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로 최근 계절과 관계없이 발생하며 주로 집단급식소에서 발생 ◆ 노로바이러스의 특징 √ 잠복기간은 평균 1~2일 √ 영하(-20℃)에서도 오래 생존 √ 소량(10개)으로도 발병 가능성 √ 구토물, 분변 1g당 1억개의 노로바이러스가 존재 ◆ 주요 원인 : 식품(오염된 물로 씻은 채소류 및 과일류, 오염된 어패류와 물을 섭취한 경우) 감염(구토물에 오염된 손으로 만진 문고리, 계단 난간 등을 통해서 전염 가능) ◆ 주요 증상 : 설사, 구토, 두통, 복통 ◆ 발생 시기 : 겨울(12월~2월) ◆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법 < 조리시 위생관리 > ○ (손 씻기) 음식 조리 전·후, 재료 손질 후, 화장실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고 음식을 조리할 때는 위생장갑을 착용해야 합니다. - 노로바이러스는 입자가 작고 표면 부착력이 강하므로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가락, 손등까지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 (끓여먹기·익혀먹기) 음식물의 내부까지 충분히 익혀야 하며, 소독되지 않은 지하수 등은 끓여서 마셔야 합니다. - 어패류는 중심온도 85℃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야 하며, 소독되지 않은 지하수는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되기 쉽기 때문에 반드시 끓이도록 합니다. ○ (세척·소독하기) 과일·채소류는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하고 절단 작업은 반드시 세척 후에 하도록 합니다. - 조리 기구는 열탕 소독하거나 기구 등 살균소독제로 소독 후 철저히 세척해야 하며, 조리대와 개수대는 중성세제나 염소 소독제 200배 희석(염소농도 200ppm)액*을 사용해 소독하도록 합니다. * 200배 희석액(원액 4%) : 소독제 5㎖( 50㎖ 계량컵, 1/10) + 물(995㎖)을 1ℓ 용기에 채움 < 의심 증상 발생시, 사람 접촉 및 조리 금지 > ○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사람은 식품 조리 참여를 즉시 중단하고, 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2~3일간 조리 배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구토, 설사 등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의심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도록 하고, 다른 사람과 직·간접 접촉으로 노로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환자의 분변과 구토물, 침, 오염된 손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으므로 화장실, 변기, 문손잡이 등은 염소 소독제를 40배 희석*(염소농도 1,000ppm)해 소독해야 합니다. * 40배 희석액(원액 4%) : 소독제 25㎖( 50㎖ 계량컵, 1/2) + 물(975㎖)을 1ℓ 용기에 채움 - 바닥의 구토물은 위생용 비닐장갑, 마스크 등을 착용하고 오염물이 튀거나 옷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여 치우고, 바닥은 반드시 소독하도록 합니다. |
|||
![]() |
|||
![]() |
|||
첨부#1 | 1주차_노로바이러스_예방요령.jpg [용량:1.6MB] | ||
첨부#2 | (최종)211015_노로바이러스_포스터.jpg [용량:889.4KB] |
- 담당부서 : 위생관리팀
- 연락처 : 054-480-5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