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혼탑
기본정보
-
- 시설명 : 충혼탑(선산읍)
- 주제 : 국가수호
- 종류 : 탑
- 주제분류 : 6·25전쟁
-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동부리 산1-3 비봉산 중턱
- 부지 : 2,975㎡(900평)
- 건립 : ‘55. 10. 16(‘01.11.12 통합)
- 사업비 : 1,200백만원
- 위패 : 1,570위(군인1,520/ 경찰43/ 애국지사7)
- 관할지청 : 대구지방보훈청
- 관리자 : 구미시
- 사건연도 : 1950년
- 시설건립일 : 1955-10-16

연 혁
-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휘호를 하사받아 1955.10 건립
- 선산충혼탑과 구미시 임수동 충혼탑 통합 사업 준공(2001. 11월, 10억)
- ※임수동 충혼탑 위패 이전 봉안 : 2001. 6. 2.
- 기존 목재위패에서 반영구적 보존이 가능한 석재 위패로 교체(2023. 5월)
건립취지
- 시설 내용
- 선산 비봉산 중턱에 1955년 6·25전쟁 기간에 전사한 호국영령 등 1, 015위의 선산 출신 호국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충혼탑’을 건립하였다. 선산읍은 이곳 출신 전몰용사들의 숭고한 애국심과 애향심을 후대에 널리 계승시키며 나아가 그들 유족들을 위로하기 위해 이 탑의 건립을 추진하였고, 1955년 10월 16일 현충일에 준공하였다. 이 탑의 휘호는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이다.
6·25전쟁 기간 선산 읍민은 고향을 지키기 위해 북한군의 침략에 맨주먹으로 맞섰으며, 많은 젊은이들이 1950년 6월 25일 남침 이후 3년간의 전쟁 동안 아군의 후퇴 및 방어, 반격 및 북진, 38선 인근의 고지쟁탈전, 빨치산 토벌작전 등에서 조국을 지키다 전사 또는 부상을 당하였다. 구미시에서는 매년 현충일에 이들의 추모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관련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