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표는 게시글에 대한 정보
2026학년도 수능대비 마무리 학습법(사회탐구)
등록일 2025-09-30 13:53:21
조회수 30
등록자 오인호

(영상보기).2026학년도 수능대비 마무리 학습법(사회탐구)(클릭)입니다.




영상 요약: 2026학년도 수능 사회탐구 마무리 학습법

1. 공통 출제 경향 및 마무리 전략

  • 최근 경향: 낯선 지문, 복합적 개념과 사례, 자료·도표·도식 기반 제시문이 증가했으며, 단순 암기가 아닌 논리적 추론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13:40].

  • 난이도 예측: 6월 모의평가(평이)와 달리 9월 모의평가(난이도 상승)를 볼 때, 수능은 변별력을 확보한 9월 모의평가와 유사한 난이도로 출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01:36], [09:43].

  • 공통 전략:

    • 기본 개념을 끝까지 놓지 않고 충실히 다져야 합니다 [14:05].

    • 최근 평가원 기출을 파악하고 이에 적응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14:14].

    • 실전 시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탐구는 수능 마지막 시간에 보기에 집중력이 바닥나기 쉬우므로, 실전처럼 시간을 재서 푸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14:38].


2. 과목별 주요 특징 및 학습 전략

1) 생활과 윤리

유형특징학습 전략
도식 활용벤 다이어그램, 흐름도 등 시각적 도식을 해석하고 명제를 검증하여 입장을 분류 [01:50].명제 검증 연습을 충분히 해야 합니다.
고난도 결합한 지문 내 여러 사상가를 결합하거나 낯선 선지, 어려운 제시문 추론 요구 [02:20].사상가 이론을 정확히 이해하고 비교·통합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04:04].
추론 강화옳은 주장과 근거 매칭, 반례를 통한 오답 제거 등 사고 과정을 따라가는 연습 요구 [02:40].키워드 중심의 풀이를 지양하고, 기본 개념과 자료 해석을 바탕으로 추론력을 길러야 합니다 [02:50].

2) 한국지리

유형특징학습 전략
공간적 이해교육과정 내 핵심 지역의 특징을 묻고, 지역별 공간적 이해와 특성 중심 [04:49].지역의 특성을 꼼꼼하게 살피고 이해한 뒤, 유형에 적용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07:28].
신유형 등장지도 투영, 중앙 경선 등 상대적 위치 판단을 비틀어 추론하는 문제 등장 [05:32].기준선/기준점, 방위, 척도 등을 먼저 확인하고 논리적으로 좌표를 판단하는 연습 [05:54].
복합 자료 해석지리 개념에 사회·경제적 자료를 결합하거나, 지도와 그래프/표를 결합해 상대 순위 등을 판단 [06:09].지도에서 지역을 확정하고, 통계와 문화 지표 등을 해석하여 응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07:38].

3) 사회문화

유형특징학습 전략
도표 분석표, 그래프, 조건문을 결합해 변수를 확인하고 논리적으로 검증하는 도표 분석 유형 (오답률 높음) [10:11].도표는 등급을 결정하는 핵심이므로, 기출을 반복하고 수와 비율의 의미를 해석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13:17], [11:31].
헷갈리는 개념낯선 지문이나 사례 속에서 헷갈리기 쉬운 짝개념을 찾아내는 문제 [10:59].헷갈리는 개념을 모아 정리하고, 핵심 키워드에만 매몰되지 말고 지문 전체를 꼼꼼하게 읽어 주제어를 파악해야 합니다 [11:09].
연구 방법/사례사회조사 과정 설계 및 판단, 실험법을 활용한 양적 연구 출제 빈도 높음 [10:40].기본 개념의 정의와 사례, 그리고 반례를 찾아 반복해서 살펴봐야 합니다 [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