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상보기) ---> 2026 대입 수시 모집의 이해와 대비(학생, 학부모)
1. 2026학년도 대입 환경 분석| 구분 | 주요 내용 | 참고 시점 | | 인구 변화 | 2007년생(황금돼지띠) 학생 수가 약 5만 명 증가하여 경쟁이 치열해졌으며, 특히 주요 7개 대학(서연고 서성한) 모집 인원이 상대적으로 축소된 느낌으로 경쟁률 상승이 예상됩니다. | [01:39], [02:01] | | 의대 정원 | 의대 정원이 제자리를 찾으면서 작년에 발생했던 '정시 하락' 현상이 반대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의대를 준비하지 않던 학생들이 공대 쪽으로 선회하여 공대 경쟁이 치열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02:30], [13:35] | | 교대 입시 | 정시에서 교대의 합격선이 크게 낮아졌습니다 (백분위 평균 70%대 합격 사례 언급). 수시에서는 내신이 좋은 학생들이 지원하여 여전히 합격선이 높지만, 정시까지 포기하지 않고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 [04:36], [05:24] | | 무전공 제도 | 전공 자율 선택제 (무전공 제도)가 확대되었으며, 특히 서울 수도권 국립대학이 많이 운영합니다. 유형 1은 모든 계열 선택, 유형 2는 계열 내 선택이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일반 학과의 모집 인원이 줄어들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06:03], [07:39] | | 선택과목 | 자연계 대학 진학 시 확률과 통계 및 사탐 응시의 걸림돌이 없어진 대학이 많아져, 사탐 응시자(사탐런)가 크게 늘었습니다. 다만, 지역 의대/약대 등 일부 대학은 여전히 미적분/기하 및 과탐을 지정하거나 가산점을 부여합니다. | [08:52], [12:13] | | 지원 추세 | 하향 안정 지원 추세가 예상되므로, 경쟁률이 낮다고 판단되는 학과에 오히려 지원자가 몰려 합격선이 급등하는 '역전 현상'에 주의해야 합니다. | [14:36], [20:30] |
2. 수시 지원 전략 및 유의사항원서 접수 기간 (9/8 ~ 9/12): 대학마다 마감 일자(3일 이상)와 마감 시간이 모두 다르므로, 마감 시간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16:50], [17:36] 충원 합격 기간 단축: 충원 합격 기간이 전년 대비 3일 정도 짧아져, 정시로 이월되는 인원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21:19] 수시 6회 지원: 상향, 적정, 하향을 섞어 지원해야 하며, 수시 합격 시 정시 지원은 불가합니다 (최초합/추가합 관계없이 합격 사실만으로 불가). 다만, 카이스트 등 특별법 대학 합격 시에는 정시 지원이 가능합니다. [32:19], [33:04] 모의고사 성적 활용: 전국연합 학력평가 성적표의 '기타 참고 자료'를 통해 자신의 전국 백분위를 확인하고, N수생 유입을 고려하여 2~3% 낮춰서 정시 예측선을 설정해야 합니다. [36:25], [38:12]
3. 전형별 지원 전략| 전형 | 특징 및 전략 | 참고 시점 | | 교과 전형 | (중요) 상위권 15개 대학은 대부분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합니다. 내신 성적이 수능 성적보다 우수하고, 생활기록부가 평범할 때 유리합니다. [26:35], [44:01] | | | 데이터 분석: 대학 어디가(대교협)의 1년치 자료만 볼 경우, 합격선이 오해되어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최소 3~4년치 합격선 변화를 추적하여 안정적인 지원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51:25] | | | 종합 전형 | 학업, 진로, 공동체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내신 등급이 낮아도(예: 5등급) 학생부 기록이 우수하면 합격할 수 있습니다. [56:14], [01:00:00] | | | 면접 대비: 최근 면접은 학생부 기재 내용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예: 양자컴퓨터 발표 원리 설명)이 주를 이루므로, 생기부 활동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01:09:40] | | | 논술 전형 | 약수령 논술은 내신 5~6등급대 학생도 도전해 볼 만하며, 시험 난이도는 학교 정기고사 서술형 정답 수준입니다. [01:13:01] | | | 수능 이전 논술: 수능 이전에 논술고사를 보는 대학(가톨릭대, 단국대 등)은 경쟁률이 낮고, 지원자 수준이 높지 않으므로 내신/모의고사 4~5등급 학생도 적극적으로 지원을 고려해야 합니다. [01:13:54] | | | 대비 방법: 논술 학원보다는 대학교 홈페이지의 논술 가이드북에 수록된 모범 정답을 보고, 왜 이것이 정답인지를 스스로 터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01:16:08] | |
4. 수험생 및 학부모 조언D-100일 전략: 수능에서 기본기 문제가 3등급 진입에 중요하므로, 100일 전까지는 기본기를 충실히 다지고 이후 변별력 문제에 도전해야 합니다. [01:20:05] 영어 3등급 목표: 영어 3등급(70점)은 수능 최저 통과와 정시 진학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01:20: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