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요소: 지원 동기 및 학업 계획, 학업 및 탐구 역량, 독서 활동, 공동체 역량 등 기본적인 학업 소양을 평가합니다 [02:31].
대비 핵심:
생기부 숙지: 생활기록부에 기재된 내용의 용어와 개념을 명확히 숙지하고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해야 합니다 [02:53].
자주 나오는 질문:
지원 동기: '내가 이 학과를 왜 선택했을까'에 대한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구체화합니다 (단, '어렸을 때부터'는 피하는 것이 좋음) [04:16].
탐구 역량: 각 활동의 동기, 과정, 결과, 배우고 느낀 점, 후속 활동을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하고 말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05:06].
독서 활동: 기재된 책에 대해 배우고 느낀 점을 중심으로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06:02].
면접 Tip: 키워드를 중심으로 논리 체계를 정리하고, 용어와 개념을 정확하게 사용하며, 꼬리 질문에 대비해 깊이 있게 생각해야 합니다 [06:56]. 답이 생각나지 않을 경우 정중하게 시간을 요청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08:38].
평가 요소: 종합적 사고력(문제 해결 능력, 논리적/창의적 사고력)을 평가합니다 [10:25].
제시문 분석: 최대한 핵심어와 핵심 문장을 찾아내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2:06].
인문사회 계열: '주장 - 근거 - 예상되는 반박'까지 생각하며 답변을 준비해야 논리성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12:58].
자연 계열: 출제 범위를 확인하고 복습해야 하며 [14:46], 상호 작용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머릿속의 풀이 과정을 말로 설명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15:48].
의과대학: 인문사회 관련 제시문(역사, 예술 등)이 자주 등장하며, 의료 기술 및 상황 제시문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18:42].
수의학과: 전공 적합성, 생명과학 기본 소양, 사회 이슈 및 관련 정책, 표/그래프 해석 등을 요구합니다 [17:52].
면접 방식: 현장 녹화 면접 (준비 8분, 답변 5분)으로 진행됩니다 [22:22].
제시문 분석 능력: 추가적인 지식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22:45] 제시문 분석을 토대로 논리적으로 답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제 유형: 여러 제시문에 드러난 관점과 형식을 비교하는 문제, 제시문의 핵심을 읽어내는 수렴적 사고, 제시문들의 관계를 구성하는 확산적 사고를 평가합니다 (예: '가'의 관점에서 '다'를 분석하라) [23:24].
Tip: 제시문에 필기할 수 없으며 연습용 종이에만 가능합니다 [23:10]. 제시문을 재구조화하여 답변하는 연습에 시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25:20].
평가 기준: 비교적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으나, 출제 스타일만 다를 뿐 서울대/연세대와 요구하는 바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28:16].
난이도: 서울대, 연세대보다 까다로운 제시문(시, 긴 글 등)이 나올 수 있습니다 [29:34].
활용 자료: 고려대는 채점 기준과 예시 답안을 제공하므로, 자신의 답변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29:41].
중요한 자세: 완벽한 답변을 하기보다 모범 사례처럼 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중요하며, 꾸준한 연습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3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