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신청
프로그램명 | [구미시민클래스] 그림책 읽고 마음산책 | ||
---|---|---|---|
대상 | 초등 1~3학년 | 강사명 | 하정민 |
총인원 | 10명 | 현재 접수인원 | 11명 |
대기인원 | 5명 | 참가비 | 15000원 |
- ■ 접수기간 : 2025-03-14 24:00 ~ 2025-03-27 18:00
- ■ 강좌기간 : 2025-04-05 ~ 2025-06-07
- ■ 강좌시간 : 14:00~16:00
- ■ 강좌장소 : 미술공작소

교육내용
그림책 한 권으로 떠나는 특별한 마음 산책!
친구들과 함께 책 속의 세계를 탐험하고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펼쳐봐요 :D
상상력을 한껏 키워줄 다양한 활동까지!
● 교육기간 : 2025. 4. 5.(토) ~ 6. 7.(토) 10회차 / 매주 토요일 14:00 ~ 16:00
● 대 상 : 초등 1~3학년
● 모집인원 : 10명 / 선착순 모집
● 장 소 : 구미생활문화센터 2층 미술공작소 (구미중앙로 15길 20)
● 수 강 료 : 15,000원
● 문 의 처 : 054-441-7441
유의사항
※ 주차 공간이 협소하니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 부탁드립니다.
※ 구미중앙로는 일방통행이므로, 구미초등학교 후문에서 좌회전 금지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메뉴의 "센터소개" ☞ "오시는길" 클릭! 하셔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D
프로그램 일정
회차 | 교육일자 | 내용 |
---|---|---|
1 | 2025-04-05 | <코끼리 미용실> 머리 스타일은 나를 드러내는 것 중 하나입니다. 또 마음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하기도 하지요, 인생의 중요한 순간에도 종종 머리 스타일을 바꾸기도 한다는 것! 머리스타일을 통해 나를 표현하고 친구들에게 나를 소개해봅니다. |
2 | 2025-04-12 | <딱 너를 위한 책이야> 책 읽는 즐거움을 알려주는 그림책들을 함께 읽고 나는 어떤 유형의 독서가인지 알아봅니다. 최근 재밌게 읽은 책을 친구들에게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추천하는 글을 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내가 고름 책을 추천하는 글을 써서 생활문화센터에 게시해봅니다. |
3 | 2025-04-19 | <사과는 이렇게 하는 거야> 친구와 마음을 나누는 법을 보여주는 그림책들을 함께 읽어봅니다. 다양한 유형에 따른 사과 방법 카드를 만들어 친구들과 공유해봅니다. |
4 | 2025-04-26 | <몸몸몸 – 나의 몸 너의 몸 다른 몸> 우리 몸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책을 함께 읽고 다양하고 포용적인 시각으로 우리 몸을 바라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바디맵핑을 만들어 나의 몸이 예술 작품이 되는 순간을 경험해봅니다. |
5 | 2025-05-03 | <안녕, 우리 동물 이웃들> 사람과 동물은 푸른 지구라는 동네에서 함께 살아가는 ‘이웃’입니다. 동물도 사람처럼 자유와 안전, 존중과 행복을 원하는 사랑스러운 존재이지요. <안녕, 우리동물 이웃들>과 함께 사람과 동물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
6 | 2025-05-10 | <오늘의 할 일> 환경그림책을 함께 읽고 생활문화센터 주변에서 발견한 쓰레기를 다양한 예술적 방법으로 표현해 환경 보호 피켓을 만들어 봅니다. 환경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실천들을 생각해봅니다. |
7 | 2025-05-17 | <이수지 작가님 그림책> 그림책을 이루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고 그 중에서도 제본선을 이용해 상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이야기를 만든 이수지 작가님의 그림책들을 함께 읽어봅니다. 글 없는 그림책을 읽는 방법을 알아보고 나만의 글 없는 그림책을 만들어봅니다. |
8 | 2025-05-24 | <여름의 선> 글자 없는 그림책과 글자가 그림처럼 보이는 그림책들을 살펴보고 그림책에서 그림이 하는 역할에 대해 알아봅니다. 글자가 그림이 되는 순간을 경험해보고 나만의 글자 작품을 만들어봅니다. |
9 | 2025-05-31 | <단어 수집가> 책이 아닌 다양한 곳에서 오늘의 단어를 수집하고 수집한 단어들로 나만의 동시를 적어봅니다. |
10 | 2025-06-07 | <책상의 왈츠> 평범한 사물을 바라보는 특별한 시선 우리가 매일 접하는 일상의 사물들을 <책상의 왈츠>처럼 낯설게 바라보는 연습을 해봅니다. 그를 통해 상상력을 발휘하고 미학을 접하는 순간을 가져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