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미시청
구미문화예술회관
강동문화복지회관
구미시의회
LANG
ENG
中文
日本語
검색어입력
메뉴구성
관광명소
금오산
소개
연원
자연 환경
인문 환경
ISO 인증
생태 자연 학습관
주요 이용 시설
야영장 안내
야영장 예약
권역별 관광지
테마별 관광지
추천코스
테마 관광
시간별 코스
권역별 코스
산행 코스
구미에코랜드
구미에코랜드
구미에코랜드 소개
시설별 안내
종합 이용안내
모노레일 안내 및 예약
체험프로그램 안내 및 예약
열린 마당
구미성리학역사관
신라불교초전지
왕산허위기념관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박정희대통령생가
구미과학관
에코누리 탄소제로교육관
옥성자연휴양림
역사∙문화
선주 역사
상고 시대
신라 시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
근대/현대
문화재
역사적 인물
전설/설화
지명 유래
문화 공간
구미시 선산청소년수련관
구미시립도서관
평생학습원
문화예술회관
선산 문화의 집
청소년 문화의 집
청소년 상담실
영화관
경상북도교육청 구미도서관
선산문화회관 대관 안내
구미영상미디어센터
문화 예술 행사
문화 예술 행사 일정
문화 예술 행사
구미시 유튜브
여행 도우미
공지 사항
여행리포터
문화 관광 해설사
해설사 안내
해설 예약
레저/스포츠
골프장
박정희 체육관
시민 운동장
올림픽 국민 생활관
영화관
시내 버스 노선 검색
숲길(등산)
코스 정보
관광 안내 지도
안내지도 신청
관광안내지도 내려받기
관내 여행사
음식∙숙박
숙박
호텔
일반 숙박
야영장
자연 휴양림
음식
구미 맛집
위생
구미안심식당
특산물
전통 시장
선산봉황시장
장천 시장
해평 시장
문화관광
인터넷방송국
구미시의회
사이트맵
자주찾는 메뉴
English
中文
日本語
모바일 메뉴
관광명소
금오산
소개
연원
자연 환경
인문 환경
ISO 인증
생태 자연 학습관
주요 이용 시설
야영장 안내
야영장 예약
권역별 관광지
테마별 관광지
추천코스
테마 관광
시간별 코스
권역별 코스
산행 코스
구미에코랜드
구미에코랜드
구미에코랜드 소개
시설별 안내
종합 이용안내
모노레일 안내 및 예약
체험프로그램 안내 및 예약
열린 마당
구미성리학역사관
신라불교초전지
왕산허위기념관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박정희대통령생가
구미과학관
에코누리 탄소제로교육관
옥성자연휴양림
역사∙문화
선주 역사
상고 시대
신라 시대
고려 시대
조선 시대
근대/현대
문화재
역사적 인물
전설/설화
지명 유래
문화 공간
구미시 선산청소년수련관
구미시립도서관
평생학습원
문화예술회관
선산 문화의 집
청소년 문화의 집
청소년 상담실
영화관
경상북도교육청 구미도서관
선산문화회관 대관 안내
구미영상미디어센터
문화 예술 행사
문화 예술 행사 일정
문화 예술 행사
구미시 유튜브
여행 도우미
공지 사항
여행리포터
문화 관광 해설사
해설사 안내
해설 예약
레저/스포츠
골프장
박정희 체육관
시민 운동장
올림픽 국민 생활관
영화관
시내 버스 노선 검색
숲길(등산)
코스 정보
관광 안내 지도
안내지도 신청
관광안내지도 내려받기
관내 여행사
음식∙숙박
숙박
호텔
일반 숙박
야영장
자연 휴양림
음식
구미 맛집
위생
구미안심식당
특산물
전통 시장
선산봉황시장
장천 시장
해평 시장
테마별 관광지
관광명소
테마별 관광지
TRAVEL ASSISTANT
관광명소
금오산
소개
연원
자연 환경
인문 환경
ISO 인증
생태 자연 학습관
주요 이용 시설
야영장 안내
야영장 예약
권역별 관광지
테마별 관광지
추천코스
테마 관광
시간별 코스
권역별 코스
산행 코스
구미에코랜드
구미에코랜드
구미에코랜드 소개
시설별 안내
종합 이용안내
모노레일 안내 및 예약
체험프로그램 안내 및 예약
열린 마당
구미성리학역사관
신라불교초전지
왕산허위기념관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박정희대통령생가
구미과학관
에코누리 탄소제로교육관
옥성자연휴양림
화면 크게 보기 버튼
화면 작게 보기 버튼
화면 출력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테마별 코스
관광지
역사/문화
생태체험
문화공간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전체
9
건
1/2페이지
구미보
구미보는 장수와 복의 상징인 거북이, 수호의 상징인 용을 형상화한 시설로 풍요롭고 아름다운 낙동강에 거북이형상의 중앙 권양대에서 360도 전망이 가능하며, 가족 또는 연인들을 위한 수변공원 및 자전거도로 등과 같은 휴식과 경관을 즐길 수 있는 편의시설과 보, 유지관리교 및 낙동강 통합관리센터 등이 있습니다.
상세보기
박정희대통령 생가/민족중흥관
조국 근대화와 새마을운동의 창시자인 박정희 대통령이 태어나서 자란 집이며 1900년경 건립한 것으로추정된다./ 국가와 민족의 번영을 위해 헌신하신 박정희대통령 일대기를 실사 촬영한 자료를 바탕으로 아시아 최초 국내유일의 하이퍼 돔 영상관(면적227㎡, 최대80명 관람)과 전시실을 갖추고 있다.
상세보기
약사암
금오산 약사봉아래 암자로 구미시내가 한눈에 조망된다 『일선지(一善志)』와 『범우고(梵宇攷)』 등 조선시대 사원 정리 기록에 의하면 금오산 정상 암석간에 약사암이 있다고 되어 있다. 이로 보아 조선시대 이전부터 존재했던 암자로 여겨진다. 이곳에서 조금 떨어진 암벽에는 신라시대의 마애보살입상이 있고, 법당 내에는 석조여래좌상 1구가 있는데 나말여초 때 것으로 추정된다. 1935년에 작성된 우상학(禹象學)의 「약사암중수기」에는 법당 내의 석조여래좌상은 지리산에 있었던 석불 3구 가운데 하나가 약사암에 봉안된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석조불을 감안하면 약사암의 유래는 신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고, 조선시대에도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935년 우상학이 중수하여 오늘에 이른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사찰 내에는 대웅전, 삼성각, 요사 등이 있다.
상세보기
도선굴
도선대사가 도를 깨우쳤다고 전해오는 동굴로 대혜 폭로 우측 벼랑 중간에 위치한다. 굴 앞에 서면 멀리 구미공단, 낙동강, 해평의 냉산을 한눈에 조망 할 수 있다.
상세보기
대혜폭포
구미시 남통동 금오산에 자리한 대혜곡의 폭포. 금오산 정상 근처 산성 안에는 1595년경 임진왜란 당시 만들어진 아홉 개의 우물[九井]과 일곱 개의 못[七澤]이 있어 거기서 비롯된 큰 계곡을 대혜계곡이라 하였고, 그 곳에서 형성된 폭포를 대혜폭포라고 하였다. 또 그 물이 여울을 이루어 구미 지방의 용수 공급에 큰 혜택을 주었다는 의미에서 대혜폭포라 불렸다는 설도 있다. 대혜폭포는 명금폭포로 불리기도 하는데,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1935년쯤 경상북도 도지사인 일본 사람이 이곳을 찾아 주변 경관과 물소리에 매료되어 한동안 넋을 놓고 있다가 차가운 기운에 정신이 들어 주변을 살펴보니 사물은 희미한데, 쾅쾅 울리는 소리만 있어 ‘금오산을 울리는 소리’라고 탄복하고 자기의 시상(詩想)이 사라지기 전에 석수(石手)를 불러 암벽에 ‘명금폭(鳴金瀑)’이라 새겼다고 한다. 그 후로 바위에 새겨진 이름이 많은 등산객들에 의해 전해지면서 오늘날 명금폭포라고도 불리고 있다. 대혜폭포는 금오산 북측 대혜곡(大惠谷)의 중간 지점 해발 400여m 지점에 위치하며, 높이가 28m이다. 수직으로 떨어지는 물은 사계절 변함이 없으며, 그 위력으로도 유명하다.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기암괴석의 벼랑은 계곡을 흐르는 감입 곡류에 의한 침식의 결과물이다. 가파른 경사로 병풍처럼 보이는 계곡에는 겨우내 대혜골에서 흐르던 물이 절벽에 얼어붙어 고드름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대혜폭포를 통과해서 하류로 흐르는 물은 남통천이라 불리며 금오산저수지의 수원이 되어 금오천으로 흘러 낙동강과 합류한다. 가장 많이 찾는 등산로에 위치한 대혜폭포는 그 자체로 등산객들에게 계절마다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변의 능선, 도선굴, 약사암 등과 어우러져 금오산 관광의 백미를 구성한다. 왼쪽의 짧은 능선과 오른쪽의 긴 바위 능선 사이에 패인 골짜기로 떨어지는 높이 28m의 대혜폭포는 여름철 강우량이 많을 때 보면 큰 폭포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내리며 부서지는 물보라와 폭풍 같은 냉풍이 주위를 시원하게 한다. 갈수기(渴水期)에는 떨어지는 물의 양이 극히 적어 물방울이 휘날릴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나, 지금은 폭포 위에 폭포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대혜담이란 조절지를 만들어 운용하고 있다. 금오산도립공원 매표소를 지나 조금 올라가면 케이블카 승강장이 나온다. 현재 대혜폭포 부근까지 케이블카가 운행되고 있다.
상세보기
금오랜드
각종 놀이시설을 갖춘 놀이동산으로 금오산 도립 공원 입구에 위치한다. 내부에 실내빙상장과 눈썰매장을 갖추고 있다.
상세보기
1
2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담당자
낭만축제과 이동민 054-480-2663
페이지 만족도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
매우불만
바로가기
청렴 감사
조직도
직원안내
청사안내
반상회보
시정소식지
공감누리
명예 기자가 쓰는 뉴스
문화·예술 행사
인터넷방송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