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닫기

분야별 정보

장사 문화 및 정책

  • 분야별 정보
  • 사회복지
  • 장사 업무

우리나라 장사(葬事)문화

장사(葬事)문화의 유래
  • 전통적으로 매장 및 화장이 모두 성행
  • 고려 말 유교(성리학)의 도입 ⇒ 조선 시대 화장 억제
    ☞ 근대 장사문화로 매장 관습 정착된 계기
장사(葬事)문화의 변화
  • 도시화, 산업화, 핵가족화 ⇒ 전통적 가족제도 해체
  • 장사(葬事)문화개선 홍보 ⇒ 국민의식 변화
  • 매장부지 확보의 어려움 및 장례비용의 부담 상승 ☞ 화장, 봉안, 자연장으로 장사문화의 변화

장사(葬事)정책 기본방향

자연 친화적이고 지속할 수 있는 장사문화 정착
  • 매장 위주의 장사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 ⇒ 화장문화로 전환 도모
  • 국민의 보건위생상 위해방지 및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공공복리 증진
기본방향
  • 국민의 인식개선을 통한 장사문화의 개선
    ☞ 자치단체 순회교육, 인터넷 홍보 및 단체 보조금 지원 등
  • 화장, 봉안, 자연장의 장려를 위한 시설 확충 및 서비스 개선
    ☞ 화장시설 및 봉안시설 설치 및 장사 종합정보 제공(e하늘)
  • 장사제도의 개선을 통한 장사행정 역량 강화
    ☞ 비합리적 규제 제도 개선 및 법적 효율성 제고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담당자
  • 노인장애인과   김시훈   054-480-5163
최종 수정일
2016-11-07
페이지 만족도

TOP
TOP